728x90
반응형
1호선 노선으로 불리우기도 하는 경의중앙선 노선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KTX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1호선의 중간 지점이라면 서울역 또는 용산역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, 용산역을 기준으로 경의중앙선의 상행 하행 노선을 알아보았습니다. 경의중앙선의 경우 배차간격이 길어 급행을 잘 이용한다면 이동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습니다.

경의중앙선 노선도
임진강역-용산 구간 급행정차역

- 임진강역
- 운천역
- 문산역 (급행정차)
- 파주역
- 월롱역
- 금촌역 (급행정차)
- 금릉역 (급행정차)
- 운정역 (급행정차)
- 야당역 (급행정차)
- 탄현역 (급행정차)
- 일산역 (급행정차)
- 풍산역
- 백마역(급행정차)
- 곡산역
- 대곡역 (급행정차)
- 능곡역
- 행신역 (급행정차)
- 강매역
- 한국항공대역
- 수색역
- 디지털미디어시티역(급행정차)
- 가좌역(급행정차)
- 홍대입구역(급행정차)
- 서강대역
- 공덕역(급행정차)
- 효창공원앞
- 용산역(급행정차)
용산역-지평역 구간 급행열차 정차역

- 용산역 (급행정차)
- 이촌역 (급행정차)
- 서빙고역
- 한남역
- 옥수역 (급행정차)
- 응봉역
- 왕십리역 (급행정차)
- 청량리역 (급행정차)
- 회기역 (급행정차)
- 중랑역
- 상봉역 (급행정차)
- 망우역
- 양원역
- 구리역 (급행정차)
- 도농역 (급행정차)
- 양정역
- 덕소역 (급행정차)
- 도심역 (급행정차)
- 팔당역
- 운길산역
- 양수역 (급행정차)
- 신원역
- 국수역
- 아신역
- 오빈역
- 양평역 (급행정차)
- 원덕역
- 용문역 (급행정차)
- 지평역
[1호선 급행열차, 특급열차 정차역] 급행열차 노선도
지하철 1호선의 급행열차 정차역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. 지하철 1호선의 경우 동두천에서 연천까지 연장도 되었을 뿐 아니라 인천, 용산 구간에 주로 집중되었던 급행열차가 동쪽 구간,
epson3.tistory.com
728x90
반응형